「여섯 개의 눈, 위안부할머니의 일상-안세홍·야지마 츠카사 사진전」참여작가 : 안세홍, 야지마 츠카사 矢嶋 宰전시기간 : 2023. 1. 18. (수) ~ 2. 26.(일)까지전시장소 : 갤러리 포도나무 (광주광역시 남구 백서로 79-1)공동기획자 : 유재현, 정현주주최 및 주관 : 갤러리 포도나무후원 : 유럽Art5예술협회, 시민자유대학, 정의기억연대 이번 전시는 가옥이라는 장소성을 통해 위안부 할머니의 일상을 재배치합니다. 따라서 갤러리 포도나무의 공간으로부터 서재와 안방에까지 전시가 이어집니다. 안세홍작가는 동티모르 등 중국과 한국 이외의 아시아 지역에서 기록한 위안부 할머니들의 컬러 사진을 전시합니다. 그의 작품은 사선의 구도와 색감이 강렬하며 이를 통해 위안부 할머니들이 자신에게 가해진 전쟁의 폭력에 여전히 분노하고 잊지 않았음을 표현합니다. 야지마 츠카사 작가는 고향으로 돌아가기를 거부하고 중국에 남은 위안부 할머니들의 일상을 담은 흑백사진을 전시합니다. 그의 작품은 매우 연한 색감과 단정한 구도를 사용해 할머니의 소박한 일상을 잔잔하게 보여줍니다. 두 작업은 다른 결의 시점과 정서를 보여주지만 우리와 다름없이 일상을 영위하는 인격을 지난 존재로서 위안부 할머니들을 드러냅니다. 여기에는 존재에 대한 애정에 찬 헌사가 심어져 있습니다. 초대합니다.전시를 관람하고 가옥의 따뜻한 안방 아랫목에서 등을 기대고 앉아 차를 드실 수 있습니다. 전시 서문 1.오늘날 우리 사회는 종군위안부에 대한 혼란스런 논란과 역사수정주의(historical revisionism)적 왜곡에 직면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인간 개인의 존엄을 훼손한 역사를 묻고 이를 아카이빙하여 후세에 전달하기 위한 우리 시대의 노력이 여전히 필요하다는 점을 일깨운다.전시 「여섯 개의 눈, 위안부할머니의 일상–안세홍·야지마 츠카사 사진전」(이하 「여섯 개의 눈」)에서 우리는 두 사진예술가의 지난한 노력과 만난다. ‘여섯 개의 눈’은 안세홍과 야지마 츠카사(矢嶋 宰)라는 두 명의 사진예술가와 이들이 사용한 카메라를 상징한다. 기묘하게도 안세홍¹은 한국에서 태어나 일본으로, 야지마 츠카사²는 일본에서 태어나 한국으로 그들 삶의 터전을 교차하여 이주하지만, 동아시아 근대사에서 은폐되었던 위안부할머니의 존재를 찾아 오랫동안 사진으로 담아냈다는 점에서 그들의 궤적은 일치한다. 전시 「여섯 개의 눈」은 한때 위안부였던 ‘존재’에 대한 기록이다. 동시에 저 사진들은 이 일에 전념한 두 사람의 발자취를 되비춘다. 사진 속의 주인공은 자연스러운 삶의 공간을 배경으로 의식적으로 카메라에 시선을 두고 있다. 우리가 마주하는 것은 굳게 다문 입에서 조용히 흘러나오는 그들의 이야기다. 주변의 일상은 차분히 정돈되어 있다. 이부자리는 가지런히 개켜져 있고 조금 낡은 옷마저 단정하다. 이 여성들은 사적인 시공간의 주인이다. 그리고 우리는 이들의 이야기를 경청하도록 초대받았다. 사진은 이들을 종군위안부로 끌려갔던 생존자라거나 위안부 문제로 싸우는 투사의 틀에 가두어 보여주기보다 인격과 존엄을 지닌 개인으로서 온전하게 지금 존재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사진예술가들의 이러한 재현은 인간 존재라는 실제적 사실에 근접한다. 이들의 직관적 접근은 위안부라는 국가 간 이해 혹은 소모적 논쟁 안에서 우리가 놓치는 것이 무엇인지를 되돌아보게 하며, 현재의 모든 정치적 논란을 넘어서 삶의 모습들을 은폐하는 모든 복잡한 쟁점들을 불가사의하게 침묵하게 만든다. 2.방법론적으로 전시의 일차 목적은 현대미술로서 안세홍과 야지마 츠카사 사진작업의 예술적 완성도를 보여주는데 있다. 갤러리 포도나무가 속한 가연지소는 사진 속 일상의 배경을 연상시키는 가옥이다. 이곳에 설치된 사진들은 할머니들의 일상처럼 장소에 스며든다. 이러한 장소성은 관객들에게 할머니들의 일상을 마주하는 것처럼 작품에 대한 직관적 이해와 심미적 공감대를 형성하도록 격려한다. 「여섯 개의 눈」은 기록으로서 사진작업을 간과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예술적 재현으로서도 관심을 갖는다.또한 이번 전시는 관객과 두 예술가, 연구자가 함께하는 시간을 마련한다. 정의연의 이나영 교수의 강연과 토론, 작가와의 대담은 관객이 전시를 보면서 갖게 되는 질문들을 함께 질의·답변하는 시간이 될 것이다. 아울러 이 부대행사들은 작품에 대한 배경지식과 이와 연관된 정보를 확인하고 오늘날의 위안부 쟁점을, 즉 위안부할머니 일상의 재현과 이를 기록하는 우리 시대의 책임을 예술 및 다양한 층위의 관점에서 질문하고 생각하게 만드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차후에도 이와 유사한 기획들이 지역의 미술행사에 자리 잡도록 이번 행사가 긍정적 사례가 되기를 소망한다. 2023년 1월 모든 협력을 대표하여 정현주 씀 <부대행사>콜로키엄 “예술 속 위안부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 운동사와 탈/식민 재현”강연 : 이나영교수(사회학, 중앙대, 정의기억연대)사회 및 토론 : 박의연박사(윤리학, 전남대)시간: 2월3일(금), 15시-17시. 장소: 전남대 인문대 1호관 313호(현공세미나실) , 광주 북구 용봉로 77문의: 시민자유대학 작가와의 대화참여작가 : 안세홍, 야지마 츠카사대담 : 정현주(철학, 독립연구자)날짜: 2월4일(토), 17시-18시.장소: 가연지소 서재, 광주 남구 백서로 79-1문의 062-655-7900@art5.eu @gallery_podonamu #여섯개의눈 #위안부할머니 #사적시공간의발견 #인간존재에대한물음 #일상 #예술의 힘 #인간존엄이_훼손된_역사를_묻는 #우리의책임 #안세홍 #야지마츠카사 #갤러리포도나무 #유럽Art5예술협회 #시민자유대학 #정의기억연대 #기획_유재현x정현주 [작가와의 대화] 예술 속 위안부: 그녀, 존재에 대한 애정에 찬 헌사 1. 예술과 사회활동과의 경계가 있다고 생각하나요? / Do you think there is a boundary between art and social activities? 2. 위안부 할머니를 그분들의 사적 시공간에서 담아낼때, 사진의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있다면 어떤 것이 있을까요? / When capturing comfort women-grandmothers in their private space, what is the most crucial part from a photographic point of view? 3. 두분 선생님께서는 관객들이 작품을 어떻게 보아 주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시나요? / How you would like the audience to see your photography? 4. 선생님들께서는 사진 예술가로 작업을 해오셨지만 그동안 두분의 작품이 현대미술 전시에서는 크게 선보이지 못했습니다. 왜 그렇다고 생각하시나요? / You two have been working as photography artists, but contemporary art exhibitions hardly show your artwork. Why do you think they have yet to feature your work? 5. 두분은 각각 한국과 일본에서 태어났지만 위안부문제를 인식하고 알리면서 그 삶의 터전을 안세홍님은 일본으로 야지마 츠카사님은 한국으로 이행하고 교차하는 삶을 살아오셨습니다. 안세홍 작가에게 한국과 일본은 어떤 모습입니까? 그리고 야지마 츠카사 작가에게 일본과 한국은 어떤 모습입니까? You two were born in Korea and Japan, respectively. And while recognizing and publicizing the comfort women issue, Ahn Se-hong moved to Japan, Yajima Tsukasa to Korea, and lived a life of intersection. What do Korea and Japan look like to you? 6. 예술이 종군 위안부의 문제와 해결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What role do you think art can play in the issue of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known as Comfort Women? 7. 오랫동안 위안부 할머니를 사진에 담아오셨는데요, 어떤 순간이 가장 기억에 남나요? / You have been taking pictures of persons who were comfort women for a long time. What is the most memorable moment?